상단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작품명
글자크기 :

총 검색 결과 195건 [1/10 페이지]

번호 내용
195

[논매기소리] (*곡우 노래)

가창자 : 정수정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송변리

곡해설 : * 부인네들이 곡우 때 고로쇠 물 마시러 산에 오가며 불렀던 것으로 함양, 거창, 산청지역에서 애창하는 향토적 민요인지라, 참고용이다.

194

[논매기소리] (*곡우 노래)

가창자 : 이종기, 형기주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곡해설 : * 부인네들이 곡우 때 고로쇠 물 마시러 산에 오가며 불렀던 것으로 함양, 거창, 산청지역에서 애창하는 향토적 민요인지라, 참고용이다.

193

[논매기소리] *교창식 논매기 소리

가창자 : 임달수,김수웅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

곡해설 : 에염소리 때의 교창형은 “얼카딩이가 넘어를 가네” “얼카뎅이 술카뎅이”와 같은 가사가 나와 멕받형의 잦은 얼카소리 변형인 “얼카덩어리 잘넘어간다”가 연상되나, <악보 1513②>는 멕받형을 벗어난다.

192

[논매기소리] *긴 아하 헤

가창자 : (메) 오천로 (받) 양촌분들과 오천로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

곡해설 : 메김구가 긴 것으로 보아서는 긴 아하 에헤 류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191

[논매기소리] *긴 아하에헤 소리

가창자 : (메)박달식, (받)박달식, 박용태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곡해설 : 논둑으로 나오기전에 선소리꾼이 “어기야”하고 소리내면 다른 농군들이 함세하여 “차 - ”하고 나온다.

190

[상부소리] 1. 덜구 2. 달괴 3.에히용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박달수(1931년 예천읍 청복2리출생. 1948년경 본리 이주. 남. 예천군 토민) (받): 본리 사람들

녹음지역 : 예천군 호명면 본리

곡해설 : 봉분달구를 하는 예천지방에서 덜구소리로 시작하여 에히용소리로 맺음은 일반형이다.

189

[상부소리] 1. 덜구 2.달괴 3.에히용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이상후(1933년생.남.토민) (받): 통명농요 회원들

녹음지역 :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

곡해설 : 봉분달구를 하는 예천지방의 달구소리는 느린 덜구소리로 시작하여 (메)와 (받)이 3소박4박(8분의12박) 1마디씩인 달괴소리를 부른다음 8분의6박 1마디씩인 에히용소리로 맺음이 일반이다.

188

[상부소리] 1. 동구안 행상(운상)소리 2.동구밖 행상소리 3. 달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정명환(1932년 천포2리 출생.남. 25세에 건천4리 이주)

녹음지역 : 경주시 건천읍 천포2리, 건천4리

곡해설 : 1.마을안을 지나며 입말 류로 선소리꾼과 동군들이 주고 받는 것으로 이해됨. 선소리꾼이 쉬고 있을 때는 동군을 좌우팀 또는 앞뒷줄로 나누어서 가창할 수도 있어보임. 2. 동부 경북지방은 두마디 넘차류가 표준형임. *산에 오를 때는 “우야” “디야” “어샤” 등 힘쓰는 소리를 한다.

187

[상부소리] 1. 초혼 2. 두마디 넘차 2.오르막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정용근(1935년생.남.토민)

녹음지역 : 창원시 마산회원구 의창구 북면 고암리

곡해설 : *꽹쇠치며 소리한다. *평길 운상은 두마디 넘차 류를 부른다. *동남부 경남지방엔 달구질소리가 없는 곳이 적지않다.

186

[상부소리] 1. 평길 행상(운상) 2.너하넘차 3.오르막운상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이상후(1933년생.남.토민) (받): 통명농요 회원들

녹음지역 :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

곡해설 : 1,2. 두마디 입말류는 하직인사 또는 동구안 운상소리로, 두마디 넘차 류는 동구밖 평길운상소리로 활용된다. 3. 같은 통명마을이라도 함봉준 메김일 때는 “우역 –쉬여” 등 차이가 난다.

185

[상부소리] 1. 하직소리 2. 너하넘차 3.우이여허호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박달수(1931년 예천읍 청복2리출생. 1948년경 본리 이주. 남. 예천군 토민) (받): 본리 사람들

녹음지역 : 예천군 호명면 본리

곡해설 : 1,2. 장례 전일의 대돋움 때는 하직소리로 쓰이곤하는 입말류로, 평길운상소리로는 경북의 일반형인 두마디 넘차 류를 부른다. 3. 예천군의 오르막 운상소리는 우역사 류이다.

184

[상부소리] 1.두마디 넘차 2. 달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용수(1939년 유등2리 출생.남.1987년경 유등1리 어북미 이주. 화양읍 유등리 토민)

녹음지역 : 청도군 화양읍 유등2리

곡해설 : 1. 청도군의 평길운상소리는 경북의 일반형인 두마디 넘차 류이다. 매전면 금천리와 화양읍 범곡2리의 가창자들도 ‘남차’라 발음한다. 2. 메김구를 통해 사위들도 묘를 밟아 주는 일에 참여하고있음을 본다.

183

[상부소리] 1.두마디 넘차 2.잦은 어화 넘차 3. 달구질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정록(1943년 농소 출생.남.25세에 송정 이주. 김해시 토민)

녹음지역 : 김해시 주촌면 농소리, 진례면 송정리

곡해설 : 동남부 경남지방엔 달구질소리가 없는 곳이 적지않다. 달구질할 때 경남지방에서는 일반적으로 봉분을 조금 쌓은 후에 봉분 달고를 한다. *송정리에서는 봉분 만들면서 선소리꾼만, 운상소리 때처럼 소리하고 다른 사람들은 밟아주기만 한 것 같다.

182

[논매기소리] 1.방해(논맴) 2. 칭칭이(마을길)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권태억

녹음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원리

곡해설 : 1. 방애 류는 영주시의 가장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이다. 2. 칭칭이 류 는 경상도의 대표적인 마을길 소리이다.

181

[상부소리] 1.하직소리 2. 두마디 넘차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김영곤(1932년생.남. 토민) (받): 김영곤,이명호(1950년 단장면 사현리출생.남.군 입대까지 거주)

녹음지역 : 밀양시 단장면 단장리

곡해설 : 북치며 소리 한다. 단장리엔 달구소리 없지만 사현리엔 있다(이명호). 하직소리 때는 느린 염불소리 한다. 평길 운상소리는 경남의 일반형인 두마디 넘차 류이다.

180

[논매기소리] 가난 모살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대근

녹음지역 :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오계리 석치

곡해설 : 석치마을의 아이논매기소리이며, 장원질 때도 부른다. 받음구나 선율은 석치마을의 운상소리와 같다. *운상소리를 논매는 소리로 활용하는 예를 충남의 당진군에서도 만날 수 있다.

179

[논매기소리] 갈가마구

가창자 : 김기홍

녹음지역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삼감리

곡해설 : * 메김선율은 촘촘이 엮음과 이완을 반복하는 어산영 곡풍이다. * 어산영은 울산, 양산 지역을 문화중심으로 하는 경상도의 한 특징적인 곡풍이다. * 받음소리를 김기홍은 ‘누룽지기’라 일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