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원 갑이 소장 중인 논매기소리 녹음자료를 이용하여 각 광역도별 민요에 관한 음악적.사설적 특징과 사회적·문화적 기능, 지리적 풍토 등을 분석 및 DB를 구축하고, 최종적으로 전자문화지도를 기반으로 한 Website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Tape으로 저장된 논매기소리 Digital화, [한국의 논매기소리 연구(○○지역)] 발간 및 CD제작, 한국의 논매기소리를 전자문화지도 기반으로 한 Website 구축 등 크게 세 가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주제 축에서는 유형별 분류체계 속에서 문화의 내용을, 시간 축에서는 그 문화가 생성ㆍ변이ㆍ소멸되는 역동적인 과정의 전체를, 공간 축에서는 실제적인 존재영역을 표시하여 각 축 간의 다면적 연관 속에서 문화현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려는 것이 전자문화지도의 연구 목적이다. 따라서 특정 주제의 시간적 추이를 파악할 수 있고, 특정 시대 특정 주제의 지리적 현황을 표현하며, 특정지역의 다양한 민속학적 문화현상을 고찰하거나, 각 주제들 간의 상호 연관 관계 등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전자문화지도이다. 특히, 논매기소리와 같이 그 지역의 정치ㆍ경제ㆍ문화뿐만 아니라 지리 환경적 영향 아래 나름의 향토성을 구축하며 전승된 민요는 단순히 지도상에 위치를 표시하거나 몇 장의 사진 및 음원,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논매기소리의 총체적인 정보를 전달하기에 대단히 미흡하다. 때문에 특정한 공간인 마을 위치와 마을에서 벌어지는 논매기소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연동하여 전달할만한 방법론적 고찰이 필요하다. 인터넷과 Web기술 및 멀티미디어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전자문화지도는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에 매우 매력적인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그 진척 또한 상당하다. 왜냐하면 전자문화지도는 방대한 문화정보를 시간, 공간, 주제의 입체적 구조로 조직한 지리정보, 사진정보, 동영상 정보를 담은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이다. 논매기소리의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①GIS DB, ②참조 DB, ③논매기소리 DB로 구성된다. 여기서 GIS DB는 Base-map과 논매기소리 DB를 Base-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Base-map은 전자문화지도 DB 구축의 기반이 되는 지도로서 구글맵 API를 연동하여, 시․군별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작성되며, 시․군에서 동․리 단위까지의 Image ID를 통해 논매기소리 주제도와 DB로 연결된다. GIS DB는 논매기소리의 문화적ㆍ사회적ㆍ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농업인구, 경지면적, 교통망, 가옥분포, 고도, 수계망 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