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검색 결과 657건 [1/10 페이지]
번호 | 내용 |
---|---|
657 |
[논매기소리] *1. 부여형 상사 2. 방아 류가창자 : 소경옥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향한리 곡해설 : 1. 옛 논산시의 모심는소리는 부여형 상사이며 그 문화중심지대에 속한다. 논산시 가야곡면에서도 모심을 때와 같은 곡을 논맬 때 원용하는 마을<논산 1>이 있었다. 2. 재현하지 못하였다. |
656 |
[논매기소리] *1. 부여형 상사 2. 방아 류가창자 : 소경옥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두마면 향한리 곡해설 : 1. 논산시의 모심는소리는 부여형 상사이며 그 문화중심지대에 속한다. 가야곡면에서도 모심을 때와 같은 곡을 논맬 때 원용하는 마을<논산 1>이 있었다. 2. 재현하지 못하였다. |
655 |
[논매기소리] *1. 아하 에헤 류 2. 얼카뎅이 넘어간다 3.에염소리가창자 : 1. (메) 이용순, (받)임재모 2.임재모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곡해설 : 1. 받음구 끝에 ‘디여’라는 어휘가 나오기도 하지만, <악보 1509①,1510,1511①>과 더불어 아하 에헤 류의 입말형 논매기소리에 분류해 보았다. 이들은 남부 공주시인 탄천면,계룡면 및 옛 장기면(현 세종시 장군면)지역이다. 논산시엔 입말형의 논매기소리들이 많다. 2. 잦은 얼카덩어리가 잘넘어간다 와 결합하는 형은 공주시에서도 계룡면, 우성면, 사곡면, 유구읍 등 서부 쪽에 분포한다. 3. 논둑으로 나오기 직전에 다함께 외치는 소리이다. |
654 |
[논매기소리] *1. 어헐카 대허리야 2. 얼카산이가 대허리다가창자 : 서해익,이규동,박길성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봉곡리 곡해설 : 논둑으로 나가기 전에 다같이 “위야차-” 하고 외친다. |
653 |
[논매기소리] *1. 얼카뎅이소리 2. 만물 소리가창자 : 박영길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이사리 곡해설 : 1. 얼카덩어리 류는 충남의 대표적인 호미매기소리이며 그 문화중심은 서부 충남이다. 논산시에서는 잦은소리 형태만 분포한다. 얼카산이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호미로 아시맬 때의 소리이고,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2. 논산시가 문화중심인 만물소리이다. 남부 공주시인 탄천․장기․반포․계룡면에도 분포한다. |
652 |
[논매기소리] *1. 에헤이 에야헤소리 2. 쌈싸는 소리가창자 : 고석중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득윤리1구 곡해설 : 1. 실제 논맬 때는 더 느릿하게 부른다고 했다. 2. 쌈쌀 때는 다 함께 1회만 가창한다. |
651 |
[논매기소리] *1. 위여차 2. 에염소리가창자 : 박귀덕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백석리 곡해설 : 1. 일반적으로는 논매기 끝에 둥그렇게 에염을 싸며 함께 외치는 소리인 ‘위여차’를 받음구로 쓰고 있다. 2. 에염소리로 상사류를 쓰는 예는 드물다. |
650 |
[논매기소리] *1. 잦은 상사 2. 얼카뎅이 대허리 3.마칠때의 외침소리가창자 : 유수종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장원리 곡해설 : 공주의 별다른 논매기소리가 없는 지역에서는 잦은 모심는소리에 해당하는 상사소리를 원용하여 부르기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필자). 잦은 얼카덩어리 형과 대허리의 결합형은 잦은 얼카덩어리 형과 잘넘어간다의 결합형에 비해 공주군내의 보다 동쪽인 정안,의당,반포면에 분포한다. |
649 |
[논매기소리] *1.올러를 가세 2.얼카덩어리 넘어간다가창자 : 김귀덕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방문리 곡해설 : 1.얼러가세 류는 천안시와 아산시 방면이 문화중심이다. 공주군에서는 금강 이북인 우성·사곡·의당면에 분포한다. 2. 논매다가 신명이 나면 메김소리가 따로 없이 “얼카덩어리 넘어를 간다”를 짝패로 복창하며 동그랗게 쌈이 싸이면 다같이 “어하 - ” 외치고 나온다. |
648 |
[논매기소리] *1.올러를 가세 2.얼카덩어리 잘넘어간다 3.얼카뎅이 4.우여차가창자 : 권재덕,오영화,임인수,이진수,이효근,임동순,김기환.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2리 운정(雲亭) 곡해설 : 1.얼러가세 류는 천안시와 아산시 방면이 문화중심이다. 공주군에서는 금강 이북인 우성·사곡·의당면에 분포한다. 2~4. 얼카덩어리 류는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로서, 그 문화중심은 서부 충남이다. 잦은 얼카덩어리의 변화형 중에서 ‘잘넘어간다’와의 결합형은 공주시 지역내에서도 보다 서쪽 편에 분포한다. 에염쌀 무렵엔 얼카뎅이를 부르고 ‘우여차’로 마무리한다. |
647 |
[논매기소리] *1.올러를 가세 2.얼카뎅이가 대허리가창자 : 표영진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곡해설 : 1.얼러가세 류는 천안시와 아산시 방면이 문화중심이다. 공주군에서는 금강 이북인 우성·사곡·의당면에 분포한다. 2. “얼카뎅이가 대허리야”를 에염쌀 즈음에 부르는 것으로 보이며, 논밖으로 나오기 직전엔 “위여차 위여차 ”하고 외친다. |
646 |
[논매기소리] *얼카덩이야 대허리야가창자 : 김건대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곡해설 : 얼카덩어리 파생형 중에서도 ‘얼카덩어리 대허리’ 형은 공주시 지역에서 ‘얼카덩어리 넘어를 간다’형에 비해 보다 동쪽인 정안·의당·반포면에 분포한다. 소리 끝은 “우여우여-하-”로 매듭짓는다. |
645 |
[논매기소리] 1,2. 상사가창자 : 1. 정대금 2. 김필규 녹음지역 :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영부리 영동 곡해설 : * 앞에 군말이 없는 정대금 창이 경남지방 논매기 <상사디여>의 다수형이다. * 김필규 창은 받음구가 고정되어있지 않아 참고용이다. |
644 |
[논매기소리] 1,2. 상사가창자 : 박헌병, 한영복, 산청읍 노인정 회원들 녹음지역 :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노인정 곡해설 : * 상사 류 중에서 경남의 개성적인 논매기소리는 <산청 18①>처럼 앞에 군말이 붙지않은 “상사디여”이다. * <산청 18②>의 메김구에 <갈미봉>가사가 보인다. 산청읍과 휴천면의 소리가 같다고 한다. |
643 |
[논매기소리] 1,2. 상사가창자 : 1. 강현수 2. 신안면 경로당 회원 녹음지역 :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단성면 자양리 곡해설 : * 상사 류 중에서 경남의 개성적인 논매기소리는 <산청 21>처럼 앞에 군말이 붙지않은 “상사디여”이다. * <산청 21①>은 단성면에서의 소리라고 한다. |
642 |
[논매기소리] 1,2. 상사가창자 : 1. 강현수 2. 신안면 경로당 회원 녹음지역 :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단성면 자양리 곡해설 : * 상사 류 중에서 경남의 개성적인 논매기소리는 <산청 21>처럼 앞에 군말이 붙지않은 “상사디여”이다. * <산청 21①>은 단성면에서의 소리라고 한다. |
641 |
[논매기소리] 1,2. 상사가창자 : 1. 백순상 2. 이창오 녹음지역 :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가례리 곡해설 : * <의령 14>처럼 ‘상사’앞에 군말이 붙은 상사 류보다 군말이 붙지않은 “상사디여”가 경남지역의 개성 담긴 논매기소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