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작품명
글자크기 :

총 검색 결과 57건 [1/4 페이지]

번호 내용
57

[논매기소리] (하 호호 방아)

가창자 : 이만갑

녹음지역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화양리

곡해설 : *논매는 소리와는 무관하나, <합천 19>의 예가 있고하여 편의적으로 게재하였다. 화양리에서는 그냥 놀면서 칭칭이(“쾌지나 칭칭나네”)를 불렀고 ‘하 호호’ 방아도 불렀다. 요즈음엔 ‘가가 호호’ 방애‘라 부르기도 한다고 함.

56

[논매기소리] *호미씻세

가창자 : 권재덕,오영화,임인수,이진수,이효근,임동순,김기환.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2리 운정(雲亭)

곡해설 : 호미로 논을 매고나서 ‘호미 씻는’ 동작에서까지 소리가 있는 마을은 드물다.

55

[논매기소리] 하서리 논매기 소리

가창자 : 강상희

녹음지역 : 전북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

곡해설 : * 김제시의 백산면은 만경면과 인접하고 있다. 군산시의 대야면과도 근접한다. <군산 1>이 참고된다.

54

[논매기소리] 하중 밭매기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강부자(받): 윤하덕, 진금순(장고): 이귀인

녹음지역 :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공수1리 마초

곡해설 : * 마초마을의 <신안 장산도 들노래>는 1988.12.21.에 전남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받았다. * 논매기소리가 아니고, 하중 밭맬 때의 소리이다.

53

[논매기소리] 학동리 지심매는 소리

가창자 : 구잠동

녹음지역 : 전북 김제시 백구면 학동리

곡해설 : * 호무질과 만두리때 두루 부른다.

52

[논매기소리] 해거름 소리

가창자 : 구재호

녹음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정리 (옛 의창군 동면 용정리)

곡해설 : 용정리에서 해거름 때 땡볕에 힘들게 논매며 불렀던 소리이다.

51

[논매기소리] 햇소리(논맴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양삼억 (받): 공처마을 사람들

녹음지역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공덕2리 공처

곡해설 : 햇소리는 논맴소리 중 가장 즐거운 대목으로 이때 일꾼들은 춤추면서 쌈 싸듯 원을 그린다. 긴 햇소리와 짜른 햇소리로 나누인다.

50

[논매기소리] 행상 논맴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학수

녹음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귀천3리

곡해설 : 운상소리의 구성진 가락으로 인해 논맬 때에도 원용하는 예가 타지역에도 이따금 분포한다.

49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가창자 : 김동만

녹음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사곡

곡해설 : 진천군의 초평면과 문백면에 분포하는 내재2마디의 비(非)넘차류 논매기소리이다. 비넘차류 논매기소리가 인접하고 있는 옛 청원군에서는 미호평야지대 및 그 영향권 안에 있는 옥산• 오창면, 북일• 북이면, 남이면 석실 및 청주시 지동마을과 강외면 동평리에 분포한다.

48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가창자 : 임상문

녹음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곡해설 : 진천군의 초평면과 문백면에 분포하는 내재2마디의 비(非)넘차류 논매기소리이다. 비넘차류 논매기소리가 인접하고 있는 옛 청원군에서는 미호평야지대 및 그 영향권 안에 있는 옥산• 오창면, 북일• 북이면, 남이면 석실 및 청주시 지동마을과 강외면 동평리에 분포한다. *<진천 4>를 북을 치며 소리한다.

47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가창자 : 송창순, 박상복

녹음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2리 소강정

곡해설 : 박상복 창의 운상소리는 넘차류이다.

46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가창자 : 김영관

녹음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기리

곡해설 : 진천군의 초평면과 문백면에 분포하는 내재2마디의 비(非)넘차류 논매기소리이다. 비넘차류 논매기소리가 인접하고 있는 옛 청원군에서는 미호평야지대 및 그 영향권 안에 있는 옥산• 오창면, 북일• 북이면, 남이면 석실 및 청주시 지동마을과 강외면 동평리에 분포한다.

45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조용옥

녹음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곡해설 : 운상소리의 구성진 가락으로 인해 논맬 때에도 원용하는 예가 타지역에도 이따금 분포한다.

44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조용옥

녹음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도평1리

곡해설 : 운상소리의 구성진 가락으로 인해 논맬 때에도 원용하는 예가 타지역에도 이따금 분포한다.

43

[논매기소리] 행상 류 논맴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윤환

녹음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감연3리

곡해설 : 넘차류의 운상소리 계통에 속한다. 운상소리를 논매기소리로 활용함은 청송군의 문화적 특색으로 꼽힌다.

42

[논매기소리] 허리시고나

가창자 : 이덕근

녹음지역 : 전북 임실군 지사면 안하리

곡해설 : * 문열가(문예가)란 문을 여는 첫꼭지 노래라는 뜻이며 <임실 14>는 “오늘도호 심심하니 노래 한 장 불러보세”로 시작하지않는다. 순창군엔 무후렴의 문열가가 많으나 <임실 14>는 어리시구나 류의 후렴을 가졌다. 오수면<임실 16>에도 어리시구나 류가 분포한다. 아리시구나 류는 전남의 함평군, 서부 나주시, 북서부 영암군 등 영산강 유역이 문화중심이다. 장성군으로 오면 이미 한계지역적인 현상을 나타낸다.

41

[논매기소리] 허허

가창자 : 고성집, 박기만

녹음지역 : 전북 부안군 백산면 대수리

곡해설 : 대수리에서 에염싸면서 불렀던 소리이다. 1마디씩 복창하였으나, “허허”가 반복구인 것으로 보아, “허허”를 받음구로 하여 3소박2박씩 멕받형으로 가창할 수도 있어보인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