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작품명
글자크기 :

총 검색 결과 287건 [1/10 페이지]

번호 내용
287

[논매기소리] *잘하네

가창자 : 안경순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신양리

곡해설 : 잘하네 곡 중에서도 ‘얼카산이가 잘하네’는 금산군, 대전광역시와 영동군,옥천군에 분포한다.

286

[논매기소리] *중화소리

가창자 : 유수종,구안본 등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장원리

곡해설 : 공주에선 만물매고나서 마을로 돌아오는 길에 무동을 태우고 노래없이 풍장만 울렸던 곳이 많지만, 장원리에서는 중화소리를 불렀다. 중화 류는 연기, 찬안, 홍성, 고창군 등지에 드물게 분포한다.

285

[논매기소리] *지심소리

가창자 : (메)박명종 (받) 박석종,박종헌,이재원,이인후,윤광묵,오창식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

곡해설 : 충남 중서부지방의 일반형인 벼타작소리를 논매기소리로 원용하였다.

284

[논매기소리] 자로하네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박복희

녹음지역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 골래, 물야면 오록1리

곡해설 : 잘하네 곡은 상주와 선산을 문화중심으로 하는 유장한 소호니를 모태로 하는 잘한다 류의 충북형이다.

283

[논매기소리] 자로하네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박복희

녹음지역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 골래, 물야면 오록1리

곡해설 : 잘하네 곡은 상주와 선산을 문화중심으로 하는 유장한 소호니를 모태로 하는 잘한다 류의 충북형이다.

282

[논매기소리] 자로하네 (논맴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채희복, (받):곽충모,김삼연, 채순구 등 이안리 노인정 회원들

녹음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이안리

곡해설 : 소호니 곡과 연관되는 그 잦은소리에 해당한다. 서부 상주지역과 보은군이 그 문화중심이다. 잘하네 곡의 여러유형중 A형(잘하네+잘하네+에헤이야후후야+잘하네)에 속한다.

281

[논매기소리] 자진 방게

가창자 : 김봉수

녹음지역 : 전북 진안군 백운면 덕현리 내봉

곡해설 : * 전북의 대표적인 논맴소리의 하나인 방게 류는 그 문화영역이 비교적 넓은 가운데 순창군을 비롯하여 임실군, 진안군 방면이 보다 우세하다. 이웃 곡성군에서는 다양하게 발달하는 양상이다. 순창군에서도 서북부 방면인 구림면, 쌍치면과 복흥면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다. * <진안 2>는 <진안 1>에 비하여 조금 잦다.

280

[논매기소리] 자진 방아

가창자 : 지남기, 박태엽, 박기서, 김인호, 조백만

녹음지역 : 충북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 마제

곡해설 : * 충북 무형문화재 제5호 중원 마수리 마제농요의 짧은 방아소리이다. * <자진>방아라는 용어는 경기민요에서의 그것과 혼동될 여지가 있어 학문상의 분류로는 피한다. * 짧은 방아는 청주시에서는 보다 남동쪽에 분포한다. 경기도에서도 널리 논매기소리로 애용되지만 고양시 등 일부지역엔 분포하지않는다. 천안시나 동부 금산군 등 동부 충남의 일부지역에도 논매기소리로 불린다. * 끝에 다함께 “ 아 - 오 - , 좋구나 , 야호호호호”를 자유리듬으로 외치곤 맺는다.

279

[논매기소리] 자진 방아타령

가창자 : (메): 박갑근 (받): 남궁흥 등 익산농요회원들

녹음지역 : 전북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검지

곡해설 : 자진방아타령이라 일컬었음은 <익산 1>을 ‘긴방아타령’이라 이름한데 기인하며 적당하질 않다. 호무질 때 부르는 잦은 논매기소리이며, 순창군 인계면의 에염소리(에하이야러)가 참고된다. 논둑으로 나오기 직전에 “위야차 - , 밟어라 밟어”라고 외친다. ‘위야차 -’라 외칠 때는 한 지점에 모여들어 두손을 번쩍 들고 외칠 것이 예상된다.

278

[논매기소리] 자진 산타령

가창자 : (메): 고판덕 (받): 조석준,고종영,고종태,고종수

녹음지역 : 전북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

곡해설 : * 탑동에서 논맬 때 불렀던 자진산타령은 보성군과 순천시 등 섬진강 유역이 본고장인 산아지 곡이다. 산아지 곡은 진도아리랑의 출처가 되는 노래로 경쾌한 곡이므로 전북지방 뿐만 아니라 충남에서도 발견된다. ‘산아지’라는 곡명은 문화중심지의 받음구에서 따온 것인데, 탑동에서 ‘산타령’이라 부르는 것도 그 받음구에서 따온 것으로 볼 수 있다.

277

[논매기소리] 자진 산타령

가창자 : 정순근

녹음지역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 대황

곡해설 : *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탑동이나 대야면 보덕리의 이창래(1906년생)가 논맬 때 불렀던 자진산타령은 보성군과 순천시 등 섬진강 유역이 본고장인 산아지 곡이다. 산아지 곡은 진도아리랑의 출처가 되는 노래로 경쾌한 곡이므로 전북지방 뿐만 아니라 충남에서도 발견된다. ‘산아지’라는 곡명은 문화중심지의 받음구에서 따온 것인데, 탑동에서 ‘산타령’이라 부르는 것도 그 받음구에서 따온 것으로 볼 수 있다. * 대황마을의 정순근은 ‘산아지로구나’ 대신에 ‘방아로군나’로 가창한다.

276

[논매기소리] 잘도한다

가창자 : 황재연

녹음지역 :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남계2리

곡해설 : 잘한다 류엔 소호니 곡과 저러구 한다 및 잘하네 형이 있으며, 소호니 곡은 가장 느리고 긴 소리이다. 소호니 곡의 문화중심은 상주시와 옛 선산군 방면이다. 구미시, 김천시, 의성군(단밀• 비안), 칠곡군과 청원군 문의면에 분포한다. 영동군엔 상주시 및 김천시 경계지역인 용산•황간•추풍령•매곡•상촌면과 심천면에 분포한다.

275

[논매기소리] 잘도한다(논맴2)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손문환(받): 전제수, 이성환, 신흥식

녹음지역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덕산2리

곡해설 : 저러구한다 곡은 상주시 소호니 곡의 잦은소리에 해당한다. 충북 보은군에서는 저러구한다 곡이 주된 논매기소리이다. 경북지방에서는 상주와 영동군에 접한 김천시에 우세하고 오른쪽으로 의성군이나 구미시와 군위군으로 가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난다.

274

[논매기소리] 잘로(논맴)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민강금

녹음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마산면 연구리(덕인리)

곡해설 : 절로 류의 문화중심은 진도군이다. 해남군에서의 절로 류 분포도 진도와 가까운 문내면, 황산면, 화원면 및 산이면이다. 마산면은 영암방면의 영향을 받아 절로 대신 ‘잘’로로 변한 문화접변 현상을 보인다.

273

[논매기소리] 잘하고 자로한다

가창자 : 전귀룡

녹음지역 :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 월전리

곡해설 : 잘한다 류엔 소호니 곡과 저러구 한다 및 잘하네 곡이 있으며, <영동 9>는 잘하네 곡의 b형에 속한다. b형은 옥천군,보은군, 청원군, 금산군, 세종시 및 대전광역시에 분포한다.

272

[논매기소리] 잘하고 잘하네

가창자 : 김동지, 여낙현, 정진래, 정성모

녹음지역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지내리

곡해설 : 잘한다 류엔 소호니 곡과 저러구 한다 및 잘하네 곡이 있으며, <영동 7>은 잘하네 곡의 b형에 속한다. b형은 옥천군,보은군, 청원군, 금산군, 세종시 및 대전광역시에 분포한다.

271

[논매기소리] 잘하고 한다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백해석

녹음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신촌리

곡해설 : 소호니 곡의 잦은소리에 해당한다. 받음구 예가 “저러구 저러구 한다”처럼 ‘ㅈ’ 자음인 것과 “어 허이구 저러호 한다”처럼 <비‘ㅈ’형>으로 나누어 본다면, 김천시에서는 <비‘ㅈ’형>을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