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작품명
글자크기 :

총 검색 결과 428건 [1/10 페이지]

번호 내용
428

[논매기소리] (모심기): 상사디여

가창자 : 김옥현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곡해설 : * 모심는 소리 예로 가창하였으나, <거제 16>과의 참고용으로 게재함.

427

[논매기소리] *산아지

가창자 : 황판용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면 신영리 1구

곡해설 : 산아지 곡은 본래 섬진강 유역 민중의 바탕소리로 논매기소리 또는 장원질소리로 불렸고 흥겨운 곡풍으로 인해 소동패노래, 씨름판노래로도 원용되었다. 전라도는 물론이고 홍성군 등 타도에까지 전파되었다. 산아지 곡은 진도아리랑의 출처이기도 하다.

426

[논매기소리] *상사 소리

가창자 : 민영식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곡해설 : 옛 논산시의 보편적인 모심는소리는 부여형 상사이나, 가창자는 농부가형으로 불렀다. 논산시 가야곡면에서도 모심을 때와 같은 곡을 논맬 때 원용하는 마을<논산 1>이 있었다.

425

[논매기소리] *상사 소리

가창자 : 민영식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두마면

곡해설 : 논산시의 보편적인 모심는소리는 부여형 상사이나, 가창자는 농부가형으로 불렀다. 가야곡면에서도 모심을 때와 같은 곡을 논맬 때 원용하는 마을<논산 1>이 있었다.

424

[논매기소리] *상사소리

가창자 : 김용옥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곡해설 : 가창자 김용옥은 모심는소리도 이와 비슷하다고 하였음.

423

[논매기소리] *상사소리

가창자 : 최기현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경천리2구

곡해설 : 경천리2구는 작은 들이라 논매는소리가 따로 없으며, 부른다 해도 얼럴럴 상사디야를 끝에 조금 해을 뿐이나, 모심을 때와는 달리 두레가 조직되어 큰기를 들고나가 들가운데 꼽아놓았다(가창자 최기현 대담).

422

[논매기소리] *상사소리

가창자 : 신정길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육곡리

곡해설 : 모심을 때도 같은 곡을 불렀다고 한다. 논매기소리로 진방애타령이라 는 것이 있는데 이를 마을에서는 오래전에 잊었고, 모심는 상사소리를 편의적으로 논맬 때도 부르는 듯 하다. 두마면에도 모심을 때의 상사소리를 논맬 때도 부르는 마을이 있다.

421

[논매기소리] *쌈소리

가창자 : (메)박명종 (받) 이재원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

곡해설 : 받음구에 해당하는 것이 세종류 보인다. <논산 13>의 제1~2행과 제3행 및 끝2행이 그것이다. 모두 아하에헤 류의 입말형에 든다. 지심소리<논산 12>에 이어 다매갈 무렵에 농악을 치면서 <논산 13>을 부른다고 하였다.

420

[논매기소리] 1.상사(논맴)2. 칭칭이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신세율(받): 남호정,신세옥

녹음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미곡1리

곡해설 : 1. 상사류는 영덕군의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에 속한다. 2. 파연곡이다.

419

[논매기소리] 사,워 소리

가창자 : 이우재

녹음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

곡해설 : * 싸호소리는 섬진강 상류지역인 진안•임실군 방면에 농후한 편이다. 남원시로 남진하여서는 “헤위 싸호”나 “어위 사호”로 공존하다가 순창군에 와서는 ‘사’호 형으로 약화된다. 이렇게 약화된 형이 곡성군을 거쳐 화순군 동복방면까지 간다. 또한 서쪽으로는 정읍시를 거쳐 고창군 내에서도 동부 정읍 방면인 신림면 가평리에서 “에 헤에 헤라 사호”와 같은 약화된 파형이 분포한다. 선율은 (메)와 (받)이 각각 12/8박 내지 내재4박 1마디씩임이 일반이다. * 하동군에는 약화된 ‘사’워 형 등이 진교•악양•적량•양보•금남면<하동1~3,5②,6②>에 분포한다.인접한 광양군에서는 불리우지 않은 것을 보면, 남원 방면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 정동리에서는 음3월 스무날깨 모판을 만든다. 두둑을 만들어 조수물이 들 때(午時지나서) 나락을 뿌린다. 조수물이 나갈 때 흩이면 둑 위에 올라오고 하므로 조수물이 들어올 때에 뿌린다.씨나락 넣기 전에 조금 모판을 말렸다가 물을 대 가지고 씨나락 흩여놓고는 안 말린다. 씨나락 넣은다음 45~50일 후에 모를 쪄서 심는다. 모찌고 심는 일은 부인네들이 했다.모심은지 30일 있다가 초벌논(손), 열흘 후에 두벌(손), 또 열흘 뒤 세벌 맨다. 정동마을 부잣집으론 30마지기 가진 집이 한집 있었다. 열 댓명이 품앗이로 논맸다.

418

[논매기소리] 사거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영배

녹음지역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신호리 동백

곡해설 : <고흥 13>은 흥민요인 화초사거리의 시작부분인 고로 가창자가 ‘사거리’라 일컬은 듯 하다.

417

[논매기소리] 사대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전제봉 (받): 전병희, 이재철,김이태, 황식

녹음지역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송평리 오송

곡해설 : 오송마을엔 긴 방아류와 함께 <사대>소리도 불리운다. 예천군내에서는 <사대소리>라는 현지명을 공처농요와 오송마을에서만 들을 수 있었다. 상주시 함창읍 덕통의 사도소리와 문경시 영순면의 사두소리가 참고된다.

416

[논매기소리] 사도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순용,임계석, 박용학

녹음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덕통리

곡해설 : 함창읍 덕통리에서는 <오장소리>에 이어 멕받형의 사도소리를 불렀다. 덕통마을 사도소리는 받음소리만 오장소리와 다를 뿐이고 메김소리는 서로 같다. 메김소리꾼이 받음소리의 첫 ‘아하’를 소리내어주면, 다른 농군들이 알아서 쭉 쭉 뻗어나간다. 사도소리는 쭉- 쭉- 뻗기만 한다(김순용 대담).

415

[논매기소리] 사디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황보기용

녹음지역 :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송죽리, 영순면 의곡리

곡해설 : 황보기용의 논매기소리에는 그밖에 오장소리<문경 4>, 짧은방헤소리<문경 6>가 있다. 짧은 쾌장소리<문경 7>는 논다매고 주인집마당에 들어와서 놀 때 부른다.

414

[논매기소리] 사디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황보기용

녹음지역 :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송죽리, 영순면 의곡리

곡해설 : 황보기용의 논매기소리에는 그밖에 오장소리<문경 4>, 짧은방헤소리<문경 6>가 있다. 짧은 쾌장소리<문경 7>는 논다매고 주인집마당에 들어와서 놀 때 부른다.

413

[논매기소리] 사라일세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손을준

녹음지역 :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금호리

곡해설 : <보성 36-1>은 녹음조사가 끝날 무렵에 한번 더 불러달라고 요청하여 가창한 것이다. 메김구에 나오는 ‘둘러매소’는 보성지방에서 애창하는 논매기소리 어휘에 속한다.

412

[논매기소리] 사랑가

가창자 : (앞): 김종현 (제창): 김시영, 김남영, 김재영 등 말천방 농요 회원

녹음지역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말천방

곡해설 : * 사랑가라 일컬음은 후렴구의 끝구가 ‘내 사랑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