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작품명
글자크기 :

총 검색 결과 134건 [1/8 페이지]

번호 내용
134

[논매기소리] *방게

가창자 : 김일태

녹음지역 :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향한리

곡해설 : *원정2동 토민인 김병민(1924년생.남)은 어릴 때 “방애 방애”라고 들은 기억이 있으나 직접 불러보진 않았다. 김일태는 “방게 방게”라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일태는 <계룡 4, 대덕 37>을 메김소리로 여기고 받는이들은 “방게 방게 방게”한다고 여기는 듯 하였다. * 논에는 쌀방게와 똥방게가 있다. 쌀방게는 뻘그스름하고 날개에 줄무늬가 있으며 식용할 수 있어 술안주로도 쓰였다. 똥방게는 시커멓고 줄무늬가 없다.

133

[논매기소리] *방해소리

가창자 : 서재원

녹음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곡해설 : 녹음자료를 들어보면, 녹음지역인 부적면 부일2구는 서재원의 고향이 아니다. 서재원 창의 모심는소리는 부여형(논산형) 상사이다.

132

[논매기소리] 바아항애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김태명(받): 김형선, 김옥진, 김홍휴

녹음지역 :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풍류리, 관덕리

곡해설 : *2001년 녹음이다. * 방애로노자 등의 방애류가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점암면과 같은 북부에서 논매기소리로 불렸다.

131

[논매기소리] 바아항애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김태명(받): 김형선, 김옥진, 김홍휴

녹음지역 :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풍류리, 관덕리

곡해설 : *2001년 녹음이다. * 방애로노자 등의 방애류가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점암면과 같은 북부에서 논매기소리로 불렸다.

130

[논매기소리] 밤길걷기 난감

가창자 : 이강일

녹음지역 : 전북 임실군 오수면 둔기리

곡해설 : * 채보자가 “배꽃일래 배꽃일래”노래가 없느냐고 하자 그건 모심는노래에 들어간다며, 아무소리를 해도 괜챦어요? 라며 가창한 것임. * 모노래 곡풍이 들어있다. 2의 ‘밤길 걷기’ 부분과 3의 ‘저산넘에’ 부분엔 말천방 농요 연게타령<임실 1> 해당 곡풍이 들어 있다. * <임실 1, 21②>가 참고된다.

129

[논매기소리] 방게

가창자 : 김일태

녹음지역 : 대전광역시(옛 대덕군) 서구 원정2동

곡해설 : *원정2동 토민인 김병민(1924년생.남)은 어릴 때 “방애 방애”라고 들은 기억이 있으나 직접 불러보진 않았다. 김일태는 “방게 방게”라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일태는 <대덕 37>을 메김소리로 여기고 받는이들은 “방게 방게 방게”한다고 여기는 듯 하였다. * 논에는 쌀방게와 똥방게가 있다. 쌀방게는 뻘그스름하고 날개에 줄무늬가 있으며 식용할 수 있어 술안주로도 쓰였다. 똥방게는 시커멓고 줄무늬가 없다.

128

[논매기소리] 방게 류

가창자 : 천흥 출생의 녹음당시 60세넘은 남자분(최완식과 함께 있던 분임)

녹음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2구 (천흥)

곡해설 : 전북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방게 류와는 받음구와 선율이 다르다.

127

[논매기소리] 방게 흥게

가창자 : 양남철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적성면 지북리 지북

곡해설 : * 방게류는 전북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중의 하나이다. 그 문화영역이 비교적 넓다. 순창군을 비롯한 임실군, 진안군 쪽이 보다 우세하며, 이웃 곡성군으로 가서는 다양하게 발달된다. * <순창 81>은 ‘에헤야’로 시작하고 있어 곡성군의 입면형 중방게에 속한다.

126

[논매기소리] 방게 흥게 (장원질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우기방

녹음지역 :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성산리

곡해설 : * 경기민요 경복궁타령 곡풍이다.

125

[논매기소리] 방게가 논다

가창자 : 이태훈

녹음지역 :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옥계리

곡해설 : 받음구가 ‘방게(방아가) 논다’ 류로 끝나는 예는 당진·서산·예산군의 모심는 소리, 평택시와 전북형의 논매기소리 및 고흥군의 모찌는소리 등에 있다.

124

[논매기소리] 방게둥게(마을길소리)

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김동언

녹음지역 :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와우리

곡해설 : 봉산면 와우리에서는 예전에 일꾼에게 베짜치(베 한필)를 줬는데, 농사 장원 길놀이 때에 황소가 아니고, 베 한 필을 목에 걸고 오면서 어른들이 즐겁게 부르던 노래가 방게둥게소리이다.

123

[논매기소리] 방게로고나

가창자 : 최재근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적성면 지북리 지북

곡해설 : * 방게류는 전북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중의 하나이다. 그 문화영역이 비교적 넓다. 순창군을 비롯한 임실군, 진안군 쪽이 보다 우세하며, 이웃 곡성군으로 가서는 다양하게 발달된다. * 얼싸방게는 곡성군의 중 방게에 속한다. 유등면 건곡리 학촌 논매기소리<순창 25>와 건곡리 건곡마을에서 넘어진 모를 세우면서 불렀던 소리<순창 31>에도 보인다.

122

[논매기소리] 방게로세

가창자 : 김철수

녹음지역 : 전북 남원시 보절면 신파리 하신

곡해설 : 방게류는 전북을 대표하는 논매기소리에 속한다.

121

[논매기소리] 방게소리

가창자 : 현광진

녹음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풍서리4구

곡해설 : 방게 류는 전북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이며 전파범위가 비교적 넓다. 천안시의 병천면에서와 함께, 손으로 짐뜯는소리로 녹음되었다.

120

[논매기소리] 방게소리

가창자 : 조종귀

녹음지역 : 전북 고창군 무장면 옥산리 월봉

곡해설 : 부안군의 아과시, 곡성군의 느린 방게에 해당한다.

119

[논매기소리] 방게소리

가창자 : 정순종

녹음지역 :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곡해설 : 방게류는 전북을 대표하는 논매기소리에 속한다. 받음구가 ‘에헤야’로 시작하고 있어 곡성군의 입면형 중방게에 속한다.

118

[논매기소리] 방게소리

가창자 : (메): 윤동현 (받): 김고막,장남식

녹음지역 : 전북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서만

곡해설 : 방게류는 전북을 대표하는 논매기소리에 속한다. 받음구가 ‘에헤야’로 시작하고 있어 곡성군의 입면형 중방게에 속한다.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