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검색 결과 153건 [1/9 페이지]
번호 | 내용 |
---|---|
153 |
[논매기소리] 마 - 소리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모동기, 이남수 녹음지역 :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곡해설 : 아리시고나 류의 한 파형으로 보인다. * 반복어 끝부분의 ‘마’를 특징어로 택하여 가창자가 <마 – 소리>라 이름한 것 같다. ‘그러고말고야 – ’의 특색어를 가진 긴 논매기소리를 근접지역인 영암군 서호면에서도 들을 수 있다. |
152 |
[논매기소리] 마 - 소리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모동기 녹음지역 :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곡해설 : 아리시고나 류의 한 파형으로 보인다. * 반복어 끝부분의 ‘마’를 특징어로 택하여 가창자가 <마 – 소리>라 이름한 것 같다. ‘그러고말고야 – ’의 특색어를 가진 긴 논매기소리를 근접지역인 영암군 서호면에서도 들을 수 있다. |
151 |
[논매기소리] 마당놀이가창자 : 허남득 녹음지역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승산리 하동마을 곡해설 : * 예전엔 정월 보름이나, 길사가 있을 때, 또한 논매기 마치고 와가지고, 차려진 음식도 먹고 마당에서 한번 뛰고 놀아보자는 식으로 불렀다. * 참고로 게재함. |
150 |
[논매기소리] 마뒤요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이기순,이여산,허영석,이관기 녹음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서호면 태백2리 백운동 곡해설 : 아리시구나 관련곡이다. 3종의 받음구를 가졌다. 음역은 9도. 가성을 사용한다. 중벌 때나 만물 때나 소리는 같다고 함. |
149 |
[논매기소리] 마디허가창자 : (메) 서영옥, (받) 양동선,서영옥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구림면 화암리 곡해설 : * 화암리에서 아리시구나 곡<순창 71>에 이어부른다. 받음구의 앞부분이 <순창 71>과 다를 뿐인고로 그 변격에 해당한다. |
148 |
[논매기소리] 마룡리 논매기소리가창자 : 노진방 녹음지역 : 전북 군산시 서수면 마룡리 곡해설 : * 호무질 때의 논매기소리는 재현하지 못하였다. <군산 10>은 에염싸기를 시작할 때나 논매기를 끝낼 때 선소리꾼이 지시하듯 외치는 소리로 보이며, 끝의 “위여차-”는 다른 논매기꾼들이 합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147 | |
146 | |
145 |
[논매기소리] 마을길 소리가창자 : 탁계봉 녹음지역 :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옥천리 곡해설 : * 창선면은 동부 남해군의 섬이다. * 옥천리에서는 호미를 논맬 때 쓰지 않는다. “어허 여허 디야”<남해 8>를 부르며 맘논을 맨 후 마을로 돌아오며 칭칭이를 불렀으나 소를 타고오지는 않았다. |
144 | |
143 | |
142 | |
141 |
[논매기소리] 마을길소리가창자 : 심진상 녹음지역 : 경상남도 의령군 칠곡면 도산리 압수 곡해설 : * 메김가사의 내용으로 보아, 마지막 논을 매고 주인댁으로 가면서 불렀던 소리이다. * 압수마을 논매기소리는 군말이 안붙은 상사 류<의령 11> 이다. |
140 |
[논매기소리] 마을길소리가창자 : 김영석 녹음지역 :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흥3리 곡해설 : * 스무명이고 설흔명이고 간에 들에서부터 마을로 소리하며 들어왔다. 소는 안탔다. 태인면에서는 태흥3리에서만 <정읍 2>를 가창하였다고 함. * 순창 연꽃타령<순창 4,21,36,87>, <임실 4> 등이 참조된다. |
139 | |
138 | |
137 |
[논매기소리] 마을길소리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금명효 (받): 김제수, 안후준 등 녹음지역 : 경상북도 문경시 점촌동 모전 곡해설 : <모전들소리>에서는 장원질 장면에서, 큰 걸채엔 삿갓을 뒤집어 쓴 큰머슴을 태우고, 지게 걸채엔 작은 머슴을 태운다. 또한, 오래 사시라고 마을길에서 특이하게도 상여놀이를 하는 바, 운상소리 받음구를 그대로 활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