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검색 결과 128건 [1/8 페이지]
번호 | 내용 |
---|---|
128 |
[논매기소리] (등지)가창자 : 하도용 녹음지역 :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관덕1리 곡해설 : * 경상도의 교창식 모노래는 등지, 정자, 등기, 모정자 등으로 불리우며 경상도의 일반적 모심는 소리지만, 통영지방에서는 모심을 때 상사소리를 부르고, 등지를 나무꾼소리로 원용하는 예가 나온다. <통영 3>은 관덕1리에서 모자리 풀을 하거나 짐지고 오면서 불렀다고 하였을 뿐, 논매며 부른 것은 아니나, 관덕2리에서 논매면서 불렀다는 예<통영 2②>가 있어 참고로 실었다. |
127 |
[논매기소리] 다하 허요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메): 정은석(받): 이영안,박종남,김동수 녹음지역 :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 곡해설 : 드내기소리(더들게 류)는 함평군의 무안방면과 북서부 나주시 및 무안군의 무안읍, 현경면으로 연결되는 들녘이 그 문화중심으로 보인다. 신안군의 더덜기 류의 받음구는 더더기<신안 5>, 더에화요<신안 19①>, 거들기<신안 19②>, 더 어럴게요<신안 20> 등 다양히다. 증도면의 다하 허어요<신안 28>나 지도읍의 허이게 헤헤요<신안 30②>도 관련성이 있어보인다. |
126 | |
125 | |
124 |
[논매기소리] 단허리가창자 : 임대근 녹음지역 : 충북 충주시 산척면 송강리 월현 곡해설 : 단허리 류는 강원도의 원주시와 횡성군 방면이 문화중심이다. 단허리의 말 뜻은 허리를 굽힌 김에 쉬지말고 단숨에 매자는 뜻이다. |
123 |
[논매기소리] 단허리가창자 : 이만식,양봉한 녹음지역 : 충북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내산리 곡해설 : 단허리는 강원도의 횡성군, 원주시 방면이 문화중심지이다. ‘단허리’의 뜻은 허리를 굽힌 김에 일어서지말고 단번에 매어버리자고 일을 독려하는 의미이다. |
122 |
[논매기소리] 단허리가창자 : 이만식,양봉한 녹음지역 : 충북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내산리 곡해설 : 단허리는 강원도의 횡성군, 원주시 방면이 문화중심지이다. ‘단허리’의 뜻은 허리를 굽힌 김에 일어서지말고 단번에 매어버리자고 일을 독려하는 의미이다. |
121 |
[논매기소리] 단허리가창자 : 박태성 등 녹음지역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곡해설 : 단허리는 강원도의 원주시와 횡성군 방면이 그 문화중심이다. 대허리는 그 파생형이며 충청도형이다. * 끝날 땐 속도를 점점 조여가다가 “어 - ”하고 외치곤 논밖으로 나간다. |
120 |
[논매기소리] 단허리가창자 : 신의선, 윤교철 녹음지역 : 충북 충주시 앙성면 능암리 대평촌 곡해설 : 단허리 류는 강원도의 원주시와 횡성군 방면이 문화중심이다. 단허리는 허리를 굽힌 김에 쉬지말고 단숨에 매자는 뜻이다. * 북을 치면서 노래한다. * 대평촌 마을에서는 호미로 매는 아이매기 때는 <충주 24>의 늘ㄴ방아와 짧은 방아를 부른다. |
119 |
[논매기소리] 단호리가창자 : 권태홍 녹음지역 : 충북 충주시 소태면 야동리 가정 곡해설 : 단허리 류는 강원도의 원주시와 횡성군 방면이 문화중심이다. 단허리의 말 뜻은 허리를 굽힌 김에 쉬지말고 단숨에 매자는 뜻이다. |
118 | |
117 |
[논매기소리] 담담 설음가창자 : (메) : 이정호 (받) : 금과들소리 회원들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금과면 모정리 곡해설 : 인접한 곡성군의 옥과면•입면•겸면과 옥과면으로의 옛길을 따라 연결되어있는 남부 순창군지역인 금과면, 순창읍, 팔덕면 및 유등면에 분포하는 논매기소리이다. 임실군 지사면에서는 유관한 곡이 밭맴소리로 불리운 예가 잇다. 보성군 복내면에는 변격인 답답 설음 형이 분포한다. |
116 |
[논매기소리] 담담 설음가창자 : 최재복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유등면 건곡리 학촌 곡해설 : * 인접한 곡성군의 옥과면•입면•겸면과 옥과면으로의 옛길을 따라 연결되어있는 남부 순창군지역인 금과면, 순창읍, 팔덕면 및 유등면에 분포하는 논매기소리이다. 임실군 지사면에서는 유관한 곡이 밭맴소리로 불리운 예가 잇다. 보성군 복내면에는 변격인 답답 설음 형이 분포한다. |
115 |
[논매기소리] 담담 설음가창자 : 이두봉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곡해설 : * 인접한 곡성군의 옥과면•입면•겸면과 옥과면으로의 옛길을 따라 연결되어있는 남부 순창군지역인 금과면, 순창읍, 팔덕면 및 유등면에 분포하는 논매기소리이다. 임실군 지사면에서는 유관한 곡이 밭맴소리로 불리운 예가 잇다. 보성군 복내면에는 변격인 답답 설음 형이 분포한다. |
114 |
[논매기소리] 담담 설음가창자 : 김봉수 녹음지역 : 전북 진안군 백운면 덕현리 내봉 곡해설 : * 곡성군의 옥과면•입면•겸면과 옥과면으로의 옛길을 따라 연결되어있는 남부 순창군지역인 금과면, 순창읍, 팔덕면 및 유등면에 분포하는 논매기소리이다. 임실군 지사면에서는 유관한 곡이 밭맴소리로 불리운 예가 있다. 보성군 복내면에는 변격인 답답 설음 형이 분포한다. * 가창자가 세벌꺾기라 일컬은 까닭은 알 수 없다. |
113 |
[논매기소리] 담담 설음이야저작권 : 민족음악연구소 가창자 : 1. 이봉순 2. 홍순규, 홍칠성 녹음지역 :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무창리 곡해설 : 곡성군의 북서부 과지방면이 문화중심으로 보인다. |
112 |
[논매기소리] 담담오 설음가창자 : <순창 34> (A): 김덕진,권병조,김옥산 (B):권판영, 권병남 <순창 35> (앞패): 권판영,권병남 (뒷패): 김옥산,김덕순 녹음지역 : 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 곡해설 : * 인접한 곡성군의 옥과면•입면•겸면과 옥과면으로의 옛길을 따라 연결되어있는 남부 순창군지역인 금과면, 순창읍, 팔덕면 및 유등면에 분포하는 논매기소리이다. 임실군 지사면에서는 유관한 곡이 밭맴소리로 불리운 예가 잇다. 보성군 복내면에는 변격인 답답 설음 형이 분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