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검색 결과 25건 [1/2 페이지]
25 |
[논매기소리] 얼카산이가 대허리저작권 : 가창자 : (메) 임택수 (받)이병직,권혁동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 (공말) 곡해설 :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와 단허리의 충북형인 대허리와의 결합형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24 |
[논매기소리] 얼카산이저작권 : 가창자 : 김일중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용포리 1구 곡해설 :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며 그 변화형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23 |
[논매기소리] 얼카산이저작권 : 가창자 : 김일중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박산리 곡해설 :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며 그 변화형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22 |
[논매기소리] 어구야 체하저작권 : 가창자 : 임흥동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송담리 곡해설 : 연기군 남면의 종촌리에도 유관한 받음소리가 있다. 논 다매갈 무렵 옹골 쌀 때는 ‘얼카 산아’를 부른다고 했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21 |
[논매기소리] 1. 만물소리 2.어구야 체 3. 얼카산하구저작권 : 가창자 : 임규철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송담리 곡해설 : 1. ‘아-’로 시작하는 긴 입말형의 만물소리가 연기군의 남면 양화1리와 방축리, 서면 국촌리 및 조치원읍 번암리에도 분포한다.2. 송담리의 임흥동도 가창<세종 3>하였고, 남면 종촌리에도 유관한 소리가 분포한 것으로 보아 하나의 유형으로 기록하였다.3.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20 |
[논매기소리] 1. 상여소리 형 2.얼카산하고저작권 : 가창자 : (메) 조수성 (받) 여럿이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양화1리 곡해설 : 호미로 아시매기와 이듬매기를 하며 불렀던 소리이다.1. MBC해설집엔 ‘행상소리’라고 참고 곡목이 적혀 있다. 채보자가 남면 종촌리에서 녹음한 행상소리는 넘차 형 또는 두마디 입말형이었으나 동면 응암리와 금남면 용포리엔 한마디 입말형이 분포한다.2.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19 |
[논매기소리] 만물소리저작권 : 가창자 : (메) 조수성 (받) 여럿이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양화1리 곡해설 : 손으로 세벌 논매기하며 불렀던 소리이다.1. ‘아’로 말문을 여는 두마디 입말형 만물소리 예는 연기군의 남면 송담리, 서면 국촌리 및 조치원읍 번암리에도 분포한다.2. 에헤‘용’으로 소리내기도 한다. 메김구가 들어가 있진 않다. 끝엔 “어구야 차 - ”로 매듭짓고 손뼉친다. |
18 | |
17 |
[논매기소리] 1.아시매기소리 2.만물소리저작권 : 가창자 : 전기옥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곡해설 : 1.연기군 남면 송담리의 아시매기 소리와 동류로 보인다.2.연기군의 입말형 아 ㅡ 소리 류로 보인다. |
16 |
[논매기소리] 1.아시매기소리 2.만물 때의 옹골소리저작권 : 가창자 : 김만종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내판2리 곡해설 : 1. 연기군의 동면 내판2리를 포함하여 내판5리,서면 국촌리, 전동면 보덕리,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하는 호미로 맬 때의 잦은소리에 해당한다. 2.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며 그 변화형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15 |
[논매기소리] 어 화여저작권 : 가창자 : 김재화 등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내판5리 곡해설 : 연기군의 동면 내판2리를 포함하여 내판5리,서면 국촌리, 전동면 보덕리,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하는 호미로 맬 때의 잦은소리에 해당한다. |
14 |
[논매기소리] 오 하햐저작권 : 가창자 : 이종훈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번암리 곡해설 : 연기군의 동면 내판2리,내판5리를 포함하여 서면 국촌리, 전동면 보덕리, 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하는 호미로 맬 때의 잦은소리에 해당한다. |
13 |
[논매기소리] 1.넘차소리 2.만물소리저작권 : 가창자 : 김순제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국촌리 곡해설 : 1. ‘넘차’라는 운상(運喪)소리의 상징 어휘가 들어가 있다.2. ‘아’로 말문을 여는 긴 입말형의 만물소리 예가 연기군의 남면 송담리와 양화1리, 서면 국촌리 및 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한다. |
12 |
[논매기소리] 1.아시매기소리 2.만물소리 3.옹골소리저작권 : 가창자 : 권일섭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국촌리 독골 곡해설 : 1. (메)와 (받)이 각각 12/8박 내지 내재4박 1마디 씩인 <세종 5,17,23>의 호미매기소리와 동류로 보인다. 2. ‘아’로 말문을 여는 긴 입말형의 만물소리 예가 연기군의 남면 송담리와 양화1리, 서면 국촌리 및 조치원읍 번암리에 분포한다.3.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며 그 변화형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논밖으로 나가기 직전에 “ 어 - ” 하고 외친다. |
11 |
[논매기소리] 얼카 산이지저작권 : 가창자 : (메) 김순제 (받) 권일섭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국촌리 곡해설 :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며 그 변화형이다. ‘얼카 산이야’는 금산군의 가장 보편적인 논매기소리이며, 대전광역시의 구 대덕군에도 분포한다. |
10 |
[논매기소리] 종달오저작권 : 가창자 : 권일섭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국촌리 곡해설 : 마을 길소리의 비슷한 유형으론 천안시의 졸다루, 공주시의 중화, 홍성군의 종헤호․ 종아종종․ 종게좋소, 고창군의 종헤소리가 있다. 국촌리의 김순제는 ‘종달오’란 꽃나부(무동)를 세웠다는 의미라고 한다. |
9 |
[논매기소리] 1.어얼카선 2. 잘하네 못하네저작권 : 가창자 : 이재영 녹음지역 :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노장리1구 곡해설 : 1. 충남지방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덩어리 류의 잦은 소리이며 그 변화형이다.2. ‘잘하네 못하네’ 곡은 괴산군의 개성있는 만물매기 소리이다. 이는 상주군과 옛 선산군 지역을 문화중심으로 하는 유장한 ‘소호니’ 곡의 잦은 소리로서, 충북형에 속한다. 동류의 받음구가 의성군과 안동시에도 분포한다. |
충청남도 연기군은 2012년 6월 30일 자로 폐지되고 2012년 7월 1일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로 출범하였다. 세종시는 구 연기군 전역과 공주시 일부(의당 ‧ 장기 ‧ 반포면 일부) 및 청원군 부용면 일부(부강리 등)를 포함한다.
필자의 전국 읍면별 농요조사는 1980년대에 집중 조사되었다. 연기군 녹음은 1987과 1989년에 주로 실시하였고, 2002년도에 보충 녹음하였다. 연기군의 논매기소리 녹음지역은 금남면 축산리(공말 ‧ 축산)와 박산리 등, 남면 방축리 ‧ 송담리 ‧ 양화1리 ‧ 종촌리, 동면 내판2리와 내판5리, 서면 국촌리, 전동면 노장1리 ‧ 보덕2리, 전의면 양곡리, 소정면 운당리, 조치원읍 번암리 이다. 옛 청원군인 부용면 부강리와 옛 공주군 지역인 장기면 평기리의 논매기소리도 녹음하였다.
2014년 12월 현재 세종시는 14동(한솔동 ‧ 도담동 등) 1읍(조치원읍) 9개면(연기 ‧ 연동 ‧ 부강 ‧ 금남 ‧ 장군 ‧ 연서 ‧ 전의 ‧ 전동 ‧ 소정면)을 관할한다. 동쪽은 청원군, 서쪽은 공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북쪽은 천안시와 경계한다.
2001년도 연기군 행정지도에 따르면 연기군은 1읍(조치원읍) 7개면(동면 ‧ 서면 ‧ 남면, 금남 ‧ 전의 ‧ 전동 ‧ 소정면)을 관할하였다.
본고에서는 구 연기군(이하, 연기군)을 중심하여 서술하고, 옛 공주군 지역인 장기면 평기리와 옛 청원군 지역인 부용면 부강리에 대하여도 언급하려 한다. 연기군에서 전동면의 전동면 전 면적에 대한 임야비율이 73%로 가장 높다. 전의면은 62%, 금남면은 54%된다. 전동면과 천안시와의 경계부근엔 만경산(600m)과 운주산(460m)이 있고 청원군과의 경계엔 동림산(457m)이 있다. 금남면과 대전시 유성구와의 경계엔 금병산(364m), 수양산(315m)이 자리한다. 청원군을 흐르는 미호천이 조치원읍과 연동면, 연동면과 연기면의 면계를 이루며 금강에 합수한다. 조치원 역의 존재, 천안-논산간 고속국도와 장기-청원간 고속국도, 세종시 연결 국도 등 교통이 편리하다.
삼국시대엔 백제에 속하여 전의지역은 대목악군의 구지현, 연기 지역은 일모산군내 두잉지현, 금남지역은 웅진의 강역이었다.
통일신라 시에 전의지방은 대록군의 속현으로 금지라 하였고 연기현은 연산군에 속하여 이때부터 연기라 이름하였다. 고려땐 전의현이라 하였고 현종9년(1018)엔 연기현과 함께 청주에 예속되었다.
세종시는 충청권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은 대전광역시, 북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으로는 1읍 9면 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솔동 관할 9개 법정동(반곡동, 소담동, 보람동, 대평동, 가람동, 한솔동, 나성동, 새롬동, 다정동), 도담동 관할 5개 법정동(어진동, 종촌동, 고운동, 아름동, 도담동) 외 조치원읍,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 연서면, 장군면, 연기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이 있다.
시의 전체 면적은 464.8㎢이며, 이 중 금남면이 78.1㎢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조치원읍과 도담동이 각각 13.7㎢로 가장 작은 면적을 갖고 있다. 반면 가장 작은 면적을 갖고 있는 조치원읍의 인구가 47,795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 분포를 보이며 그 다음으로는 38,871명의 인구 분포를 보이는 도담동이 세종시 내 제2의 인구수를 보이고 있다. 조치원읍과 도담동은 면적이 가장 적은 반면, 인구수는 가장 많아 세종시 내에서 가장 높은 인구밀도를 보이는 지역이다.
2014년 12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을 포함한 전체 인구는 158,844명으로 인접한 공주시보다 약간 많은 인구를 보이나, 세종시로 통합된 후 큰 인구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되면서 종전의 충청남도 연기군 일원과 충남 공주시의 의당면 태산리, 용암리, 송학리, 용현리, 송정리 일원 장기면 송무리, 평기리, 대교리, 하봉리, 도계리, 봉안리, 제천리, 은용리, 산학리, 당암리, 금암리 일원 반포면 원봉리, 도남리, 성강리, 국곡리, 봉암리 일원 및 충청북도 청원군의 부용면 산수리, 행산리, 갈산리, 부강리, 문곡리, 금호리, 등곡리, 노호리 일원을 통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수리적 위치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 절대적인 위치로, 경위도상의 위치를 일컫는다.
세종시의 수리적 위치로서 경도는 127°10'(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리) ~ 127°23'(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위도는 36°24'(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 ~ 36°43'(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의 범위를 갖고, 동서 간 연장은 20.7㎞, 남북 간 연장은 37.0㎞이다.
세종시와 비슷한 위도상의 도시는 인접한 공주, 청주, 대전을 비롯하여 청양, 예산, 보은, 상주, 안동 등이 있으며, 비슷한 경도상의 도시는 천안, 안성, 전주 등이 있다.
세종시는 한반도의 중부인 충청남도 동쪽에 위치하며, 남으로는 대전광역시와 마주하고, 동쪽과 북쪽으로는 대부분 청주시와 인접해 있고, 북쪽의 일부는 천안시와 접하고 있다.
세종시 통합 전 연기군은 북쪽에서 천안시와 경계, 서쪽에서 공주시, 남쪽은 대전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연기군 주변의 커다란 도시로 인하여 정치, 경제, 사회적인 면들뿐만 아니라 생활권에서도 주변의 도시들의 영향권 하에 있었으나, 세종시로 통합 후 하나의 자립적인 행정단위로서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다.
세종시의 전답 면적을 살펴보면 2012년 기준으로, 논 면적은 74,166㎢, 밭 면적은 39,972㎢이며, 전답 전체 면적은 114,138㎢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구역별 전답 면적은 다음의 표와 같다. 세종시의 전답 면적의 비율을 살펴보면, 밭보다는 상대적으로 논의 면적이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세종시는 전반적으로 논으로 이용될 수 있는 평탄지의 면적이 넓으며, 이는 금강이 세종시를 관류하면서 형성해 놓은 넓은 범람원과 미호천의 범람원에서 기인한다. 특히 미호천이 금강으로 유입되는 합강리 부근에는 넓은 범람원이 형성되어 있어 논 농사의 적지로 인식되고 있다.
행정구역 |
계(㎡) |
밭(㎡) / 비율(%) |
논(㎡) / 비율(%) |
조치원읍 |
2,453,648 |
1,028,755 (2.57) |
1,424,893 (1.92) |
연 기 면 |
11,314,352 |
3,751,691 (9.38) |
7,562,661 (10.1) |
연 동 면 |
11,278,464 |
3,394,273 (8.49) |
7,884,191 (10.6) |
부 강 면 |
6,510,987 |
2,497,116 (6.24) |
4,013,871 (5.41) |
금 남 면 |
17,785,247 |
5,853,700 (14.6) |
11,931,547 (16.0) |
장 군 면 |
11,979,627 |
3,882,004 (9.71) |
8,097,623 (10.9) |
연 서 면 |
12,735,367 |
4,781,469 (11.9) |
7,953,899 (10.7) |
전 의 면 |
13,663,577 |
5,902,582 (14.7) |
7,760,995 (10.4) |
전 동 면 |
10,367,020 |
3,871,304 (9.68) |
6,495,716 (8.75) |
소 정 면 |
4,295,661 |
1,819,147 (4.55) |
2,476,514 (3.33) |
한 솔 동 |
11,754,940 |
3,190,604 (7.98) |
8,564,336 (11.5) |
전체 |
114,138,888 |
39,972,645 (100) |
74,166,244 (100) |
세종시는 충청남도 동부에 위치하고 충청남·북도에서는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은 청주, 북쪽은 천안, 서쪽은 공주, 남쪽은 대전과 경계를 이루고 남북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어 금강에서 전의 산악지대까지 지형이 골고루 형성되어 있다.
세종시에는 산이 많으나, 그중 높은 것으로는 운주산(460m), 국사봉(402.7m), 금병산(364m),작성산(331.5m)을 들 수 있으며, 대부분 낮은 산들이 많아 목야지 또는 과수원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인간의 문명생활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강이다. 세종시는 금강이 관류하고 있어 일찍부터 문명 발상은 물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는데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조천은 조치원을 끼고 충청북도의 도계로 흐르는 미호천과 합하여 금강으로 유입된다. 세종시의 크고 작은 하천은 모두 상위 차수 하천인 국가하천 금강으로 유입되어 서해로 흐른다.
세종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에 해당되는 각종 변성암류와 이를 매립한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화강암 및 이들을 부정합으로 피복한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종시의 북부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는 지금부터 약 8억년 전에 형성된 암석으로 추정된다. 대보화강암은 세종시의 남부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세종시의 북쪽 반은 변상암류가 우세하며, 남쪽 반은 화강암류가 우세하다. 세종시 지역은 한국의 타 지역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고기지층에 속하는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기후란 매일의 일기변화를 장기간에 걸쳐 평균한 대기의 특성과 현상들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기상은 기온·습도·운량·기압·바람·폭풍 등과 같이 시간적으로 빠르게 변하는 일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운 날씨를 보이고, 봄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다.
세종시는 충청남도의 내륙에 위치하여 한서의 차가 큰 대륙성기후의 특색을 보인다. 세종시에는 기상관측소가 없기 때문에, 세종시 주위에 위치한 대전 지역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기후 요소의 평년값을 나타내면 다음의 표와 같다.
요소 |
평년값 |
평균기온(℃) |
13.0 |
최고기온(℃) |
18.4 |
8월평균기온(℃) |
25.6 |
최저기온(℃) |
8.3 |
1월평균기온(℃) |
-1.0 |
강수량(㎜) |
1,458.7 |
세종시와 인접한 대전시의 연평균기온은 13.0℃, 가장 무더운 달인 8월 월평균기온은 25.6℃,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월평균기온은 -1.0℃로 연교차는 26.6℃이다. 연평균최고기온은 18.4℃, 연평균최저기온은 8.3℃이다. 연평균강수량은 1,458.7mm로 중부지방 연평균 강수량과 비슷한 편이다.
연기군(세종시)의 논매기소리에는 어구야 체하, 잦은 얼카덩어리 류, 올러가세, 대허리, 긴 입말형 아 - 소리 , 잦은 입말형(한마디 ‧ 반마디)소리 류, 행상(行喪)소리 형, 잘하네 못하네, 상사, 짜른 방아 등과 장원질소리인 종달오가 있다.
논매기소리에서도 북부 연기군인 전의 ‧ 전동 ‧ 소정면 방면, 중부 연기군인 미호천 유입지역과 금강 이북지역, 그밖에 금강 이남인 금남면 지역은 차이가 난다. 북부 연기군인 옛 전의지역에서는 올러가세 류, 대허리 류, 잘하네 못하네 곡, 그밖에 유장한 아-소리의 변형으로 보이는 ‘염불이면 동창’ 등이 불리우거나 우세를 보인다. 중부 연기군에서는 남면(현 연기면)이 문화중심인 ‘어구야 체하’와 같은 논매기소리를 창출하였으며, 긴 입말형 아 - 소리를 비롯한 잦은 입말형이나 행상류 논매기소리, 그밖에 미호형 상사의 영향이 있는 상사류 논매기소리가 분포한다. 금강 이남인 금남면 지역에는 금산을 문화중심으로 하여 대전에 까지 전파된 ‘얼카산’소리와 얼카산과 대허리의 결합인 “얼카산이야 대허리야”만 논매기소리로 수집되었다. ‘얼카산’소리는 중부 연기군에도 넓게 분포하지만 옛 전의지역에선 전동면 노장리에 “어얼카선”이 불리웠을 뿐이다. 전동면은 ‘얼카산’소리 전파의 한계지역으로 보이며 청원군이나 천안시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어구야 체하는 세종시 한솔동 지역(옛 연기군 남면 지역)이 문화중심인 논매기소리이다. 현재 이곳은 세종시 한솔동으로 행정구역명이 변하였으며, 세종시 정부청사가 입주하여 재개발이 거의 완료된 지역이다. 따라서 과거의 모습은 현재로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현대화된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이에 따라 논매기소리의 유실이 심히 염려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과거 이 지역은 미호천과 금강이 합수되는 지점의 직하류로, 잦은 범람이 있었던 범람원 지역이다. 따라서 배수시설만 잘 갖추고 있으면, 농사짓기에 아주 비옥한 땅으로 활용될 수 있는 지역이었다.
잦은 얼카덩어리 류는 금남면 축산리·박산리·용포리, 조치원읍 번암리, 연기면 송담리(현 한솔동 지역)·양화1리(현 연기면 세종리 지역)·연동면 내판2리, 연서면 국촌리, 전동면 노장리, 장군면 봉안리에서 채록되었다. 잦은 얼카덩어리류는 전동면 노장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세종시의 중부 또는 남부 지역에서 채록되었는데, 이는 모두 미호천과 금강 혹은 금강 지류의 범람원 지역 또는 그 인근에 해당된다. 연기군에는 느린 얼카덩어리 류가 분포하지않는다. 대개는 에염때 부른다. 금산군의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인 ‘얼카산’ 유형이 많다.
올러가세 류는 천안시와 아산시가 문화중심인 논매기소리로 세종시에서는 전의면의 양곡리와 운당리 및 전동면 보덕2리와 같이 세종시의 북부지역에만 분포한다. 운당리는 산자락에 위치하여 대부분의 지역이 100~300m의 평탄한 산지이다. 녹음당시인 1989년엔 전의면 소속이었으나 1995년에 소정면이 신설되면서 소정면 운당리가 되었다. 천안 및 아산 지역에서 전파되어 남하하던 올러가세 류가 세종시의 중부 또는 남부에서 주로 불린 얼카덩어리와 어구야 체하 류에 의해 세종시 북부의 이남으로는 전파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