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전남
글자크기 :

 전남 화순군

총 검색 결과 0건 [1/1 페이지]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1

배경 및 녹음지역

 

화순군은 현재 1읍(화순읍) 12개면(한천,춘양,청풍,이양,능주,도곡,도암,이서,백아,동복,사평, 동면)을 관할한다. 2020년도에 북면을 백아면으로, 남면을 사평면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화순군 지역은 구한말까지만 해도 화순군(현재의 화순읍,동면,사평면 일부)과 능주군(이하, 능주지방) 및 동복군(백아면·이서면·동복면, 이하, 동복지방)으로 행정상 관할을 달리 해 오던 것을 1908년에 능주군을 합하고 1914년에 동복군을 폐합하여 오늘에 이른다. 

1987년도 화순군의 통계연보 자료에 기하여 13개읍면의 개별 총면적에 대한 임야비율을 보면 1981년도 현재 무연탄 탄광업소가 5개소 들어있는 한천면이 제일 높아 84.5%에 달한다. 그 다음엔 이양면> 남면(사평면) > 북면(백아면) > 동복면 순으로 모두 각기 79%에 달한다. 그 다음은 청풍면(75.5%) > 동면(74.6) > 도암면(74.4) > 이서면(70.3) > 춘양면(68.8) > 화순읍(66.5) > 도곡면(59) > 능주면(29.9%) 순이다.

능주지방(능주면과 도곡면, 춘양면)과 화순읍은 비교적 평야지대에 속한다. 화순읍과 동면 등은 화순지방에 들어보인다. 동복지방(동복‧백아‧이서면)은 비교적 산간지대임도 알겠다.

녹음지역은 다음과 같다. 화순읍 내평리 / 능주면 천덕리, 만인리, 원지리 / 도곡면 신성리, 대곡1리, 덕곡2리 / 도암면 용광리 / 동복면 한천리 / 동면 언도1리 / 백아면(북면) 남치리, 서유리, 원리 / 사평면(남면) 사평리, 장전리, 사수리, 주산리(배수마을; 수몰지구) / 이서면 야사리 / 이양면 매정1리, 묵곡2리,강성2리, 송정2리, (오류리) / 청풍면 차리(하촌), 청룡리 /춘양면 우봉리, (양곡1리) / 한천면 가암리.

 

녹음지역의 지리적 고찰

 

화순군은 전라남도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곡성군과 순천시, 서쪽은 나주시, 남쪽은 보성군과 장흥군, 북쪽은 광주광역시와 담양군, 곡성군과 접해있다. 화순군의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6° 49′~127° 12′, 북위 34° 49′~35° 12′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의 읍과 12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순군의 인구수는 65,636명(2017년 기준)이고, 면적은 787.01㎢로 전라남도의 전체 면적 12,345.21㎢ 중 6.38%를 차지하며, 전라남도 22개 시·군 중 4번째로 면적이 넓다. 전답으로 이용되는 면적은 119.87㎢로 화순군 전체 면적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밭은 48.10㎢, 논은 71.76㎢로 이는 각각 화순군 전체 면적 중 10.04%, 19.53%이다(2017년 기준).

화순군은 소백산맥에서 뻗어 내려온 지맥들로 이루어진 산지지역으로, 크게 화순군 중심을 이루는 호남정맥과 북면에서 동복면, 남면으로 이어지는 섬진7지맥이 있다. 화순군의 모든 산 능선은 호남정맥 중 내장산(內藏山, 764m), 추월산(秋月山, 731m), 설산(雪山, 526m)으로부터 이어져 온 연산(蓮山, 508m)의 갈래로부터 시작된다. 화순군의 중심축을 이루는 것으로 연산-만덕산-수양산-국수봉-노가리재-까치봉-새목이재-유둔재-백남정재-북산-무등산(화순군지역)-장불재-안양산-별산-묘치고개-구봉산-섶밭재-천운산-돗재-태악산-노인봉-성재봉-대봉-두봉산-개기재-계당산-예재-봉화산-고비산-군치산-숫개봉-봉미산-곰재-국사봉-바람재까지 이어진다, 다른 한 갈래는 동쪽으로 뻗어 화순군과 곡성군, 순천시를 경계로 하는 산등으로 이어지는데 연산-꾀꼬리봉-기우재-기우산-남치-선세치-차일봉-흑재-솔치-밤실산-운월재-운월산-모후산-말거리재-동복골 뒷산으로 이어지며 동복천에 이른다.

화순군의 수계는 다음과 같다. 화순천(和順川)과 지석천(砥石川)은 영산강(榮山江) 상류의 지류로, 서쪽으로 흘러 남쪽 황해에 이르며, 동복천(同福川)은 섬진강(蟾津江)의 지류로 남쪽으로 흘러 동쪽으로 갔다가 남해로 흘러간다. 

화순지역의 평야지대는 그리 넓지는 않으나, 군내에서는 능주평야와 도곡평야로 이어지는 들판이 가장 넓다. 대체적으로 평야라는 말 대신 들 이름으로 마을 앞의 논을 지칭하였다. 지대는 지석천과 화순천, 동복천을 중심으로 하여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화순군은 전남지역의 기후 구분에서 남부평지다우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내륙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높은 산지가 나타나지 않는 지역이며, 노령산맥의 북동부와 영산강 상류 및 섬진강 하류에 위치한 평야지대를 의미한다.

화순군의 기상관측소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30년 이상의 오랜 기간 기상상태를 종합하는 기후표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순군 주변에 위치한 광주광역시 지역의 기상청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기후 요소의 평년값을 나타내었다.

 

요소

평년값

평균기온(°C)

13.8

최고기온(°C)

19.1

8월 평균기온(°C)

26.2

최저기온(°C)

9.5

1월 평균기온(°C)

0.6

강수량(㎜)

1,391.0

 

화순군에서 나타나는 논매기소리는 사호소리, 세월이소리, 논맴양산도, 산아지곡, 매화로고나, 더덜기, 변격 아리시고나, 사하 디여디여, 오헤루사 디여디여, 에기야(자자) 디여디여, 상사뒤여, 노방가, 방애 류, 에야하 에야로, 에요소리, 도혼실 지나노, 난초타령 등이 있다. 그 밖에 장원질소리로는 뚜름마 훨훨, 두령 두려, 아이고데고 성주로다, 덩기, 얼쭝덜쭝, 일반 농부가, 에헤라 사호, 논맴양산도 등이 불린다.

사호소리는 화순군 동부와 북부에 위치한 사평면과 백아면 등지에서 나타난 논매기소리로, 본래 섬진강 상류지역인 진안•임실군 방면의 에염싸는 소리이며, 멕받형이다. 문화중심지의 받음구는 “어휘 싸오”가 일반적이다. 남원시에서는 “헤위 싸호”나 “어위 사호”로 나타나다가 순창군에서 ‘사’호 형으로 약화된다. 이는 곡성군을 거쳐 화순군 동복방면까지 간다. 또한 서쪽으로는 정읍시와 고창군 내에서도 정읍시 동부 방면인 신림면 가평리에서 “에 헤에 헤라 사호”와 같은 약화된 파형이 분포한다.

화순군은 소백산맥에서 뻗어 내려온 지맥들이 이루는 산지지역이다. 화순군의 모든 산의 능선은 내장산(764m)과 추월산(731m), 설산(526m)으로부터 이어져 온 연산(508m)의 갈래로부터 시작한다. 또한, 군내의 주요 하천인 화순천과 지석천, 동복천 등 주변에 형성된 능주평야와 도곡평야가 화순지역 내에서 가장 넓은 평야이다. 이러한 지형 특성으로 인해 논매기소리 또한 하천지대 및 평야지대에 대부분 분포하고 있으며, 산지가 위치한 지역은 하천지대 및 평야지대에 비해 논매기소리가 전파되기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화순군은 세화자와 논맴양산도의 문화중심지에 해당한다. 세화자는 문화중심지인 화순군 남서부지역과 인접한 나주시 남동부지역에서 석양판에 부르던 유장한 논매기소리로, 동복지방엔 분포하지 않으나 논맴양산도는 동복면 한천리에 분포한다. 화순지방과 능주지방은 영산강의 상류문화권으로 볼 수 있고, 비교적 산간지대인 동복지방은 섬진강의 상류문화권으로 볼 수 있다.

 

 

 

 

화순군-시군위치(도로망)

화순군-시군위치(하계망)

화순군-시군위치(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