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검색 결과 472건 [1/10 페이지]
472 | |
471 |
[논매기소리] 에야 소리저작권 : 가창자 : (메): 천경봉, (받): 제남용,제연근,황봉길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망치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470 |
[논매기소리] 에야 디야저작권 : 가창자 : (메): 최태준 (받): 제남용,제연근,천경봉, 황봉길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망치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469 | |
468 |
[논매기소리] 오호 디여저작권 : 가창자 : 조정인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사등리 언양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받음구는 고정되어있지 않아 참고용이다. |
467 |
[논매기소리] 치나 칭칭저작권 : 가창자 : 조정인, 조성기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사등리 언양 곡해설 : 다함께 놀면서 불렀던 것이나, 받음구 파악을 위해 편의상 게재함. |
466 |
[논매기소리] 에호 디야저작권 : 가창자 : 손기만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명사, 동부면 가배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논 다매고 나올 때는 “이히히히” 또는 “이후후후” 외친다. * <상사디여>는 모심을 때 부르고, 논맬 때는 안부른다. |
465 |
[논매기소리] 에호 디야저작권 : 가창자 : 손기만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 명사, 동부면 가배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논 다매고 나올 때는 “이히히히” 또는 “이후후후” 외친다. * <상사디여>는 모심을 때 부르고, 논맬 때는 안부른다. |
464 | |
463 |
[논매기소리] 위야저작권 : 가창자 : 옥지선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오비리 소오비, 하청면 석포리 곡해설 : 섬인 관계로 여성 가창자 등장. * 초벌,두벌,맘논을 손으로만 매었다. * 두레논매기 하지만, 소타고 들어오는 행사가 없었다. * ‘조리자’는 경남의 전형적인 잦은 모찌기소리 가사인데, 이를 메김구로 원용하였다. |
462 |
[논매기소리] 위야저작권 : 가창자 : 옥지선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오비리 소오비, 하청면 석포리 곡해설 : 섬인 관계로 여성 가창자 등장. * 초벌,두벌,맘논을 손으로만 매었다. * 두레논매기 하지만, 소타고 들어오는 행사가 없었다. * ‘조리자’는 경남의 전형적인 잦은 모찌기소리 가사인데, 이를 메김구로 원용하였다. |
461 |
[논매기소리] 어허 기야저작권 : 가창자 : 이재금,유호완,옥복률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삼거동(신현읍 삼거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460 |
[논매기소리] 어어 디여저작권 : 가창자 : 윤병조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장목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논 맬 때 갱과리 치면서 불렀다. |
459 |
[논매기소리] 갈미봉저작권 : 가창자 : 유우선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연사리 곡해설 : 갈미봉 가사는 육자배기 곡으로 많이 가창된다. 여성 가창자가 논매기 때 들었던 소리 예를 시연한 것임. |
458 |
[논매기소리] 어야 디여저작권 : 가창자 : 공명구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연초면 연사리 곡해설 : 섬 지방인 관계로, 어로요를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 선율없이 말로만 제보하였다. |
457 | |
456 |
[논매기소리] 상사저작권 : 가창자 : 김옥현 녹음지역 :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덕골 곡해설 : * 같은 녹음 장소에 있던 덕호리 남자 분은 주변 모두의 논매기소리가 “상사디여”라고 하였다. <거제 16>처럼 농부가를 연상시키는 상사 류인지 <거제 17>의 모심는 소리인 단순 “상사디여”인지 명확하질 않아 참고용이다. |
창원시는 경상남도의 중부 남단에 자리하며 남해안의 마산만과 진해만에 접한다. 우측은 부산광역시와 김해시, 북쪽음 밀양시, 서북쪽은 함안군, 서쪽은 진주시, 서남쪽은 고성군과 경계한다. 근래엔 국토계획상, 울산과 부산, 사천을 연결하는 기계공업단지로서 신산업 경제력의 핵심을 이룬다.
동읍의 조개더미, 진해구의 패총 등으로 신석기 시대로부터 인거하였던 것으로 보며, 세형동검이나 무문토기의 출토, 진동면 진동리 유적 등은 B.C 10세기경부터 시작되는 청동기시대를 말해 준다. 기원전후엔 골포국, 300년대로부터 530년대까지의 창원지구 탁순국, 통일신라 676년 문무왕 시절 마산의 골포현과 창원의 굴자군은 757년 경덕왕 때에 각각 합포현과 의안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282년(충렬왕 8년)엔 각각 회원현과 의창현으로 부르게 된다. 1408년(조선조 태종8년)엔 회원현과 의창현을 합쳐 창원이라 개칭하고 부로 승격한다. 1627년(인조 5년)엔 진해현의 진동⦁진전⦁진북지역이 창원에 소속된다. 1760년(영조36)엔 마산창이 설치된다. 1906년에 진해군 대산면과 칠원군 구산면이 창원부에 편입된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창원부를 마산부로 고친다. 1973년에 남해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창원은 기계공업기지로 설정된다. 1977년에 구마고속도로가 개통된다. 1980년엔 창원시를 설치하고 창원군을 의창군으로 개칭한다. 1983년엔 경남도청이 창원으로 이전한다. 2008년에 마창대교가 개통된다. 2010년 7월1일자로 마산시와 진해시를 통합한 창원시가 출범하고 의창구,성산구, 마산합포구,마산회원구, 진해구로 개편하였다.
창원지방 논매기소리 녹음지역은 다음과 같다.
의창구 |
동읍의 용정리와 신방리, 대산면 갈전리 평리마을과 가술리 남가술마을, 북면의 외산리와 월백리 월산마을 및 무동리 |
마산 회원구 |
내서읍 신감리와 삼계리 삼계마을, (봉암동), 석전동 |
마산 합포구 |
구산면 내포리, 진북면의 인곡리와 지산리, 진동면 진동리 서촌 진전면의 오서리와 시락리 및 신촌리, 월영동, 자산동,
|
진해구 |
웅천동(웅천면 북부리) |
2016년 기준 창원시의 총면적은 747,118,429.6m²(747.118Km²)이다.
임야가 80% 이상인 곳은 내서읍 신감리>진전면 시락리>진북면 인곡리>북부동 이다. 또한 임야가 7% 이하인 곳은 구산면 내포리>대산면 가술리>대산면 갈전리>동읍 용정리이다. 대산면 갈전리와 동읍 용정리는 임야가 1%도 되지않는다. 대산면에 위치한 대산평야는 낙동강변의 저습지로 갈대숲과 늪지대였으나 1905년 일본인들에 의해 농경지로 바뀌고 1921년엔 수리시설이 생겨 쌀생산의 황금벌로 탈바꿈하였다. 임야와 경지비율을 합하여도 50%가 되지않는 동읍 신방리나 구산면 내포리, 자산동과 석전동은 근래의 기계공업단지 조성의 결과 평지가 공업용 이나 주택 등,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음을 본다.
창원지방은 소백산맥이 남으로 뻗어내려 차차 그 세력이 쇠퇴하여 남해안으로 들면서 대소의 수많은 여백을 형성하여 지세의 기복이 심하며, 북쪽으로 천주산(638.8m), 동쪽으로 정병산(566.7m),불모산(801m)을 거쳐 남쪽에 안민고개를 지나 장복산(582.2m)으로 연결된다. 장복산 중턱에 장복터널이 1986년에 개통됨으로 인하여 마산-창원-진해구의 동일 문화권 형성이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쪽은 해발 500m~800m의 고도를 가진 노년기 초기의 지형으로 둘러싸인 분지의 지형을 이룬다. 분지 내에는 100m내외의 파랑상의 구릉지가 곳곳에 분포한다.
창원시는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김해시와 부산광역시, 서쪽은 진주시와 함안군·고성군, 남쪽은 거제시, 북쪽은 창녕군 및 밀양시와 접하고 있다. 창원시의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8°21′~128°50′, 북위 35°02′~35°23′이다. 행정구역으로는 5개의 구에 2개의 읍, 6개의 면, 54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청은 의창구 용호동에 위치해 있다.
창원시의 인구는 1,098,752명(2013년 기준)이다. 창원지역의 전체면적은 747.12㎢이고, 경상남도 전체 면적의 약 7.1%를 차지하고 있다. 경상남도 18개 시·군 중 5번째로 면적이 넓다. 전답으로 이용되는 면적은 117.75㎢로 창원시 전체면적의 약 7.1%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밭은 29.54㎢, 논은 88.21㎢로, 이는 각각 창원시 전체 면적 중 4.0%, 11.8%에 해당한다(2013년 기준).
지형은 대체로 경상남도 남부 지역을 특징짓는 해안산맥이 고성쪽으로부터 마산·함안을 거쳐 본 시역의 중부와 남부지역을 지나 동쪽으로 달려 김해시 지역까지 연속되고 있다. 서북쪽으로는 천주산(656m), 동쪽으로는 봉림산(567m), 남동쪽으로는 불모산(802m), 남쪽으로는 각각 장복산(566m)과 팔용산(328m)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북부는 대체로 저평한 평야지대와 저습지대로 되어 있는데, 이는 북부의 시계를 동류하고 있는 낙동강의 퇴적작용에 의해 하안평야가 북면·동면·대산면지구에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시의 지세는 북반부의 저지대, 중앙의 저평지, 그리고 중앙 동부와 남부의 산악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서부지구는 북쪽은 대체로 표고 200m이하의 저평지가 전개되어 함안군 및 마산시와 연결이 자유로운 편이다. 동부와 남부는 산악의 준령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김해시 및 진해시와의 시계를 형성하고 있고 남서쪽의 일부는 내륙 깊숙히 들어온 마산만의 만구에 해당된다. 대표적 산지는 중앙부에 정병산(567m)·봉림산(290m)·구룡산(434m), 서쪽에 천주산(656m), 시가지의 동쪽에 비음산·대암산(669m)·불모산(802m)·웅산(703m)·태산(703m), 남쪽에 장복산(566m)·산성산(400m) 등이 솟아 있다. 이 외에도 백월산(400m)·춘산(298m) 등이 있다.
하천으로는 천주산과 정병산에서 각각 발원한 내동천과 창원천, 그리고 불모산과 장복산에서 흘러 내린 남천이 시가지 중심을 서류하여 각각 마산만으로 유입한다. 시가지 내에는 그 밖에도 가음정천·완암천 등이 남천에 합류된다.
창원시는 북반구 중위도와 유라시아대륙의 동안에 위치하므로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대륙지방보다 비교적 한서의 차가 작고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온대기후지역에 해당한다.
창원시에는 기상관측소가 없기 때문에, 30년 이상의 오랜 기간 기상상태를 종합하는 기후표가 없다. 창원시 주위에 위치한 부산시 지역의 기상청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기후 요소의 평년값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요소 |
평년값 |
평균기온(℃) |
14.7 |
최고기온(℃) |
18.9 |
8월평균기온(℃) |
25.9 |
최저기온(℃) |
11.3 |
1월평균기온(℃) |
3.2 |
강수량(㎜) |
1519.1 |
창원시의 논매기소리에는 세사는 금삼척 류, 에라 류, 상사 류, 어산영 류, 짝패소리 류, 입말 류, 자유곡(천지건곤)이 있다. 그밖에 장원질소리로는 입말류와 칭칭이 류, 상사 류 및 호령 류가 있다.
창원시의 논매기소리는 특정지역에 편재되어 있지 않고 시의 전역에 걸쳐 분포하지만, 의창구와 마산 합포구, 마산회원구에 상대적으로 많은 소리가 채록되었다. 의창구는 낙동강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충적평야가 북면·대산면·동읍에 펼쳐져 있다. 대체로 저평한 평야지대에 해당하여 농경지가 많고, 마산회원구는 내륙 깊숙이 들어온 마산만의 만구 주위에 소리가 많이 분포하며, 마산합포구도 대부분의 소리가 바다와 인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뱃길을 통해 쉽게 전파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의창구 동읍 용정리는 보존이 요청되는 논매기소리 고장이다. 세사는 금삼척 류는 함평군의 서부지역인 신광·손불·대동·엄다면에 분포한다. 용정리 근처에 옛 파발마가 다니던 자여역이 있었는데, 당시에 이 옛길을 내왕하며 서쪽 함평군으로부터 전파가 된 것이라 판단된다.
창원시의 상사 류 논매기소리엔 순상사와 결말상사형이 있다. 순상사는 서남부 마산 합포구의 구산면 내포리와 진북면 인곡리·지산리, 진전면 오서리에 분포한다. 창원의 서쪽에 위치한 사천시는 순상사지역이기 때문에 사천시로부터 전파가 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말상사형의 지역은 의창구 동읍 용정리와 동읍 신방리, 의창구 대산면 가술리, 마산 회원구 내서읍 신감리, 마산 합포구 진전면 오서리·시락리이다. 의창구에서 불리는 결말 상사형의 받음구에서 ‘위-’ 소리와 결합한 소리가 나는 것을 보아, 의창구가 대산면 가술리에서 인접한 밀양시와 낙동강을 따라 문화 교류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입말 류의 논매기소리에서도 ‘위-’소리 형인 것을 보아, 결말 상사형과 같이 밀양으로부터 교류가 있었다고 판단된다.